’먹통’ 사태 닷새 만에 카카오·다음 메일 복구 <br />데이터센터 전력공급 100%…복구 대부분 마무리 <br />서버복구 단숨에 불가능…정상화돼도 오류 가능성<br /><br />지난 15일 카카오 서비스가 '먹통'이 된 뒤 줄곧 접속이 막혔던 카카오와 다음 메일. <br /> <br />사고 닷새 만에 주요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다시 작동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불이 났던 SK 데이터센터의 전력 공급이 정상화되면서 주요 카카오 서비스도 대부분 복구가 마무리된 겁니다. <br /> <br />카카오 측은 민감 장치인 서버 특성상 장비 점검 등 절차를 걸쳐야 해 전력이 다시 공급되더라도 단숨에 모든 서버가 정상 가동되진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서비스가 정상화되더라도 전송되는 데이터가 몰리면 일부 지연이나 오류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[남궁훈 / 카카오 대표 : 한번에 (서버) 전원을 다 올려 버리면 그것도 문제인 거죠. 그러다가 전원 잘못 올리다가 장비가 고장 날 수도 있고.] <br /> <br />복구 작업은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지만, '먹통' 사태에 따른 후폭풍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카카오 서비스 중단으로 실질적인 피해를 본 이용자들은 집단 소송을 준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카카오가 화재 등을 미리 대비하지 못한 과실에 대해 손해배상을 청구하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신재연 / 변호사 : 지금도 여러 가지 유형의 문의가 들어오고 있습니다. 배상을 받을 수 있을지 이런 부분들은 좀 검토해서 진행해야 하는 단계인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카카오 서비스 대신 다른 앱으로 갈아타는 이른바 '탈카카오' 조짐도 나타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스마트폰 앱 스토어에는 카카오톡처럼 메신저 기능을 가진 라인 이용자 수가 이틀 만에 85만 명 증가하고, 우티, 네이버 지도 등 다른 카카오 서비스를 대체할 수 있는 앱들도 인기 순위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사고 이튿날 카카오톡 이용자 207만 명이 이탈하기도 했지만, 서비스가 점차 정상화되면서 대부분 이용을 재개해 이탈 규모가 크진 않을 거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0년 출시된 뒤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는 앱으로 성장한 카카오톡. <br /> <br />지난 주말부터 이어진 '먹통' 사태로 사회 곳곳에 적잖은 충격을 준 만큼 복구가 완료되더라도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박정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102015001597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